샘플 컨텐츠 파일이 있으므로 목차(toc) 파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 주제 레이블을 HTML 파일 중 하나의 참조에 맵핑함으로써 목차 파일은 키 시작점을 HTML 컨텐츠 파일에 정의합니다.
플랫폼으로 이주 중인 응용프로그램은 기존 문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데, 목차 파일을 사용하여 시작점을 기존 문서에 정의하면 됩니다.
플러그인에는 하나 이상의 목차 파일이 있습니다. 예제 문서는 세 개의 주요 카테고리 즉, 개념, 타스크, 참조사항으로 구성됩니다. 이 구조를 표시하는 목차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하나의 대형 목차 파일을 작성하거나 컨텐츠의 각 주요 카테고리에 대해 독립된 목차 파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문서 팀이 함께 작업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. 서로 다른 작성자가 각 카테고리를 소유하는 경우, 각 카테고리의 독립적인 목차 파일을 보존하는 것이 좋습니다. 플랫폼 아키텍처에 의해 지정되지는 않습니다.
이 예제에서는 각각의 주요 컨텐츠 카테고리에 대해 목차 파일을 작성합니다. 파일 수가 적은 경우에는, 각 카테고리마다 독립적인 목차 파일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. 여기에서는 여러 개의 파일이 있거나 각 컨텐츠 카테고리를 소유한 개별 작성자가 있는 것처럼 이 예제를 구성합니다.
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.
<toc label="Concepts"> <topic label="Concept1" href="html/concepts/concept1.html"> <topic label="Concept1_1" href="html/concepts/concept1_1.html"/> <topic label="Concept1_2" href="html/concepts/concept1_2.html"/> </topic> </toc>
<toc label="Tasks"> <topic id="plainTasks" label="Plain Stuff"> <topic label="Task1" href="html/tasks/task1.html"/> <topic label="Task2" href="html/tasks/task2.html"/> </topic> <topic id="funTasks" label="Fun Stuff" > <topic label="Task3_1" href="html/tasks/task3_1.html"/> <topic label="Task3_2" href="html/tasks/task3_2.html"/> </topic> </toc>
<toc label="Reference"> <topic label="Ref1" href="html/ref/ref1.html"/> <topic label="Ref2" href="html/ref/ref2.html"/> </toc>
주제는 컨텐츠의 단순 링크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Task1"은 컨텐츠에 대한 label 및 href 링크를 제공합니다. 주제는 고유 컨텐츠가 없는 부속 주제를 계층적으로 그룹화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"Fun Stuff"에는 label 및 부속 주제만 있고 href는 없습니다. 주제는 두 가지 모두를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. "Concept1"에는 href 및 부속 주제가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