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일의 65행에서 버그를 발견했지만 해당 코드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가정합시다. 누가 이 변경사항에 관해 물어볼 수 있는 책임자가 누구입니까? 파일의 자원 히스토리를 찾아서 찾기를 시도할 수 있지만, 해당 특정 행을 변경한 사용자가 누군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. 이것이 바로 어노테이트 명령이 유용한 이유입니다. ASCII 파일(2진 파일에 대한 참고 참조)을 선택한 후 누가 몇 행을 변경했는지에 대한 목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어노테이션 표시 조치는 히스토리 보기, 저장소 탐색기, 동기화 보기와 자원 및 패키지 보기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양식입니다. 어노테이트가 실행될 때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어노테이트 보기에서 단계별로 변경을 진행하고 문서 편집기는 선택된 변경사항과 연관된 행을 강조표시합니다.
텍스트 파일에서 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어노테이트 보기는 해당 행과 연관된 변경사항을 선택합니다.
히스토리 보기는 열려 있는 파일의 히스토리를 표시하고 현재 선택된 변경사항에 대한 개정을 강조표시합니다. 이렇게 하면 특정 변경사항에 대한 확약 주석을 신속히 볼 수 있습니다.
어노테이트 명령은 CVS 저장소에 ASCII로 표시되어 있는 파일에 대해서만 작동합니다. 또한 이 명령은 텍스트 파일을 열어서 Workbench의 연관된 편집기가 비문서 편집기일 경우에도 변경사항을 표시합니다. 예를 들어 plugin.xml 파일에서 어노테이트 명령을 실행할 경우 단순 문서 편집기가 전체 PDE 편집기 대신 열립니다.